-
홈페이지 : philo.konkuk.ac.kr
-
사무실 : 인문학관 교수연구동 109호
-
전화번호 : 02-450-3382
-
E-MAIL : philo@konkuk.ac.kr
학과소개
철학과는 근본적인 원리의 차원에서 인간과 세계를 폭넓고 깊이 있게 이해하여 개인적으로 자신의 삶을 의미 있게 영위하고, 제 학문에 대해서는 그 기본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사회적으로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게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통과 미래, 동양과 서양, 가치와 사실에 관한 철학적 성찰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철학사적 검토와 담론의 지평을 열어가고자 한다.
건국대학교 철학과는 현대철학의 제반 분야와 동서양의 철학적 전통들을 폭넓게 교육하고 있다.
2012년에 이어 2017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중 학과평가에서 전국 34개 철학과 중 '최상위'에 선정됐을 정도로 교수 연구성과, 학생 교육 여건, 취업률 등에서 최고를 자랑한다.
교수진의 연구 주제는 지역별로는 동양철학, 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으로 나뉘며, 분야별로는 형이상학과 인식론과 같은 전통적인 주제부터 정신분석, 사회철학, 분석철학의 현대적 주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들을 포괄하고 있다. 학과 교수들은 인성교육, 정신분석 연구소 등 다양한 연구소 활동을 하고 있다. 2020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4단계 BK사업에 철학과가 선정되어 3년 반 동안 연구사업을 진행하였으며, 2022년 시민사회 밀착형 철학교양 교육 단체 'KU일감철학회'가 출범하였다. 학과 내에서는 교수와 대학원생이 학부생을 지도해 논문을 발표하는 학술제'프로메테우스 제전', 철학과 관련된 유적지를 찾아 현장의 정신으로 돌아보고 과거의 의미를 되묻는 '학술답사',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관심 분과를 탐구하는'학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매년 운영하고 있으며 열린 토론수업을 진행하는 등 전공역량 강화에 특화된 교육 커리큘럼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처럼 건국대학교 철학과는 여러 활동을 바탕으로 융·복합 및 통섭이라는 학문의 흐름을 따라 철학에 대한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다.
건국대학교 철학과는 현대철학의 제반 분야와 동서양의 철학적 전통들을 폭넓게 교육하고 있다.
2012년에 이어 2017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중 학과평가에서 전국 34개 철학과 중 '최상위'에 선정됐을 정도로 교수 연구성과, 학생 교육 여건, 취업률 등에서 최고를 자랑한다.
교수진의 연구 주제는 지역별로는 동양철학, 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으로 나뉘며, 분야별로는 형이상학과 인식론과 같은 전통적인 주제부터 정신분석, 사회철학, 분석철학의 현대적 주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들을 포괄하고 있다. 학과 교수들은 인성교육, 정신분석 연구소 등 다양한 연구소 활동을 하고 있다. 2020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4단계 BK사업에 철학과가 선정되어 3년 반 동안 연구사업을 진행하였으며, 2022년 시민사회 밀착형 철학교양 교육 단체 'KU일감철학회'가 출범하였다. 학과 내에서는 교수와 대학원생이 학부생을 지도해 논문을 발표하는 학술제'프로메테우스 제전', 철학과 관련된 유적지를 찾아 현장의 정신으로 돌아보고 과거의 의미를 되묻는 '학술답사',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관심 분과를 탐구하는'학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매년 운영하고 있으며 열린 토론수업을 진행하는 등 전공역량 강화에 특화된 교육 커리큘럼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처럼 건국대학교 철학과는 여러 활동을 바탕으로 융·복합 및 통섭이라는 학문의 흐름을 따라 철학에 대한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다.
교육목표
철학은 지금 여기의 문제를 탐구하고 다른 학문 영역에 영감을 제공하는 사명을 갖는다. 철학은 근본 원리의 차원에서 인간, 자연, 세계를 폭넓고 깊이 있게 이해하며, 인간의 무늬와 삶에 대한 성찰을 하는 학문이다. 철학과에서는 전통과 미래, 동양과 서양, 가치와 사실에 관한 철학적 성찰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학문 전통과 지혜의 유산인 철학적 성찰의 성과와 방법을 한편으로는 역사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주제별로 심도 있게 교육한다.
이를 통해 개인적으로는 타자와 공존하면서 고유한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고, 제 학문에 대해서는 기본적 원리와 기준을 제시하고, 사회적으로는 창조성, 감수성, 상상력을 고취하면서 인간다움의 가치를 실현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개인적으로는 타자와 공존하면서 고유한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고, 제 학문에 대해서는 기본적 원리와 기준을 제시하고, 사회적으로는 창조성, 감수성, 상상력을 고취하면서 인간다움의 가치를 실현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졸업 후 진로
철학을 전공한 후 사회로 나가면 크게 두 가지 길이 있다.
첫째는 교수와 연구원, 전문직 등의 준비를 위해 진학이나 유학을 가는 경우이다.
본 학과는 현재 일반대학원(서양철학 전공과 동양철학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원 철학과는 석사와 박사 과정을 거쳐 학위를 취득한 후 교수나 연구자 길을 가거나 철학 전공의 장점을 살려 언론인 같은 전문직 사회활동, 교육과 관련된 사업으로 길을 개척할 수 있다.
둘째는 전공과 다전공을 살려 본인 역량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이다.
사회 진출의 경우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직업 생태계의 변화가 발생하고,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사회구조도 변화되어 새로운 적응과 자질이 필요한 만큼 철학적 재능인 창의성, 통찰력과 이해력, 논리적 사고와 종합적 판단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수 있다.
첫째는 교수와 연구원, 전문직 등의 준비를 위해 진학이나 유학을 가는 경우이다.
본 학과는 현재 일반대학원(서양철학 전공과 동양철학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원 철학과는 석사와 박사 과정을 거쳐 학위를 취득한 후 교수나 연구자 길을 가거나 철학 전공의 장점을 살려 언론인 같은 전문직 사회활동, 교육과 관련된 사업으로 길을 개척할 수 있다.
둘째는 전공과 다전공을 살려 본인 역량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이다.
사회 진출의 경우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직업 생태계의 변화가 발생하고,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사회구조도 변화되어 새로운 적응과 자질이 필요한 만큼 철학적 재능인 창의성, 통찰력과 이해력, 논리적 사고와 종합적 판단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수 있다.